오늘은 SD카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SD카드를 알아보기 전에 메모리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합시다. 메모리는 DATA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전원이 꺼지면 기억되어 있는 DATA를 모두 잃어버리는 메모리 반도체를 D램, S램이라고 하며, 전원이 꺼지더라도 DATA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라고 합니다.
이런 플래쉬메모리들은 트랜지스터 1개로 하나의 셀(CELL)을 구성합니다. 이 셀들 안에 DATA를 저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시중에서 자주 접하는 USB 메모리나 SD카드는 이러한 플래쉬 메모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셀에 DATA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을 하는데
SLC (SINGLE LEVEL CELL) , MLC (MULTI LEVEL CELL) , TLC (TRIPLE LEVEL CELL)
SLC는 하나의 셀에 1bit의 정보를 저장합니다.
MLC는 하나의 셀에 2bit의 정보를 저장하고 TLC는 하나의 셀에 3bit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것의 차이가 무엇이냐하면 용량, 속도 및 내구성의 차이나 나타나게 됩니다.
TLC는 적은셀로 많은 양의 DATA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MLC보다 가격적이 측면에서 저렴합니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하고 속도의 저하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SLC > MLC > TLC 순으로 가격과 속도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중요한 부분에서는 TLC보다 SLC를 쓰는 것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SLC가 속도도 빠르고 오류도 적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SLC의 치명적인 단점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것입니다.
1. 우리는 어떤 타입의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가...?
어느 곳에 써야 하는지에 따라 구분하면 될 것입니다.
자주 읽고/쓰기를 반복하는 곳에서는 MLC타입의 메모리를 특히 디지털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블랙박스 등등에 사용하면 좋고,
읽고/쓰기를 반복하지 않고 DATA를 오래 장기간 보존할 목적이라면 TLC타입의 메모를 선택하면 좋을 것입니다. SLC 타입의 메모리는 가격이 너무 비싸서 제외시켰습니다.
SD카드의 앞면을 보면 SD/SDHC/SDXC 이러한 문구를 자주 보게된다. 대체 어떤 의미가 있는가?
1. 용량 : 최대 2GB 2. 기본 포맷 형식 3. SD 카드는 SD, SDHC, SDXC를 지원하는 모든 호스트 장치에서 작동됩니다.
1. 용량 : 2GB ~ 32GB 2. 기본 포맷 형식 3.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기를 위해 카드가 사용될 기기에 SDHC란 로고가 있는지 꼭 확인을 해야 합니다.
1. 용량 : 32GB ~ 2TB 2. 기본 포맷 형식 3.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기를 위해 카드가 사용될 기기에 SDXC란 로고가 있는지 꼭 확인을 해야 합니다.
1. 용량 : 2TB ~ 128TB 2. 기본 포맷 형식 3.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기를 위해 카드가 사용될 기기에 SDUC란 로고가 있는지 꼭 확인을 해야 합니다.
[로고는 SD Association 웹사이트에서 참조하였습니다]
용량의 차이임을 알 수 있습니다. SD < SDHC < SDXC < SDUC의 순입니다.
이에 SD협회 (SD ASSOCIATION)에서는 읽기/쓰기에 관한 속도를 정의해 놓았습니다.
먼저 Class 등급이 있습니다. 이것은 구형 SD카드를 토대로 최저 쓰기 속도를 규정한 내용입니다.
Class ② : 쓰기 속도가 2MB/sec입니다.
Class ⑩ : 쓰기 속도가 10MB/sec입니다. 당연히 높은 등급이 유리하겠습니다.
UHS(Ultra High Speed) 규격은 최대 읽기 속도를 나타냅니다.
BUS차이에 의한 속도로 인터페이스 방식을 지원하는 기기 사용 시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UHS-Ⅰ = 최대 104MB/sec의 최대 읽기 속도
UHS-Ⅰ = 최대 312MB/sec의 최대 읽기 속도
이런 이유로
SD카드의 성능은 최저 쓰기 속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저 쓰기 속도는 DATA를 저장하거나 기록할 때 보장되는 속도로 최저속도가 보장되어야만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원활한 연사 기록과 동영상의 촬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UHS규격을 지원하는 기기에서 U로고 안에 숫자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ass등급보다 좀 더 상위의 스피드 클래스라 할 수 있습니다.
U1 = 10MB/sec의 최저 쓰기 속도를 의미합니다.
U3 = 30MB/sec의 최저 쓰기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제는 마지막으로 Video Speed Class입니다.
V6 ~ V90으로 표기하고 있고 뒤의 나온 숫자는 전송 속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V30 = 30MB/sec의 전송속도
V90 = 90MB/sec의 전송속도를 나타냅니다.
2. 어떤 SD카드를 선택해야 하는가?
저는 미러리스용 SD카드를 찾고 있어서 일단은 MLC 타입이고 용량은 128GB~512GB 정도면(동영상 촬영 포함) 좋을 것 같고, 그럼 SDXC로 UHS-Ⅰ에서 최저 쓰기 속도는 U3으로 해야 연사 및 동영상 촬영에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또한 제가 선택한 미러리스 카메라의 스펙을 잠시 살펴보면 동영상 지원이 HD는 지원하지만 4K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V30 정도의 메모리를 구매하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어떤 SD카드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는 자신이 사용하는 기기의 스펙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당한 메모리를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해서 찾은 미러리스용 SD카드는
SanDisk - 제조사
Extreme PRO - 제조사 자체 등급
170 MB/s - 초당 읽기 속도
SDXC - 용량이 32GB ~2TB이고 포맷 방식은 exFAT
Ⅰ / U3 - UHS-Ⅰ이고 최저 쓰기 속도는 30MB/s
V30 - 비디오 전송 속도는 30MB/s
128GB - 메모리 용량
'한국 굴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작 " 영화를 보다. (1) | 2023.01.17 |
---|---|
SONY 알파 A6000 unboxing (0) | 2020.06.28 |
미러리스 카메라 구입하기 (0) | 2020.03.23 |
DSLR과 미러리스(Mirrorless) 카메라 선택하기 (0) | 2020.03.10 |